LH임대주택의 종류
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LH임대주택의 종류

by 녕녀이 2023. 7. 18.
반응형

LH임대주택의 종류 및 가격
LH임대주택의 종류 및 가격

비교적 저렴하며 국가의 지원을 받아 입주할 수 있는 LH임대주택의 종류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.

요즘 너무 많은 종류의 임대주택이 있는데 이 글에서 임대주택의 종류를 알아가신다면 본인에게 맞는 임대주택을 고르는데 도움이 될 것 입니다.

 

 

   LH임대주택 종류

1. 행복주택

  • 청년 등 젊은계층의 주거불안 해소를 위해 국가 재정과 주택도시기금을 지원받아 대중교통이 편리하고 직주근접이 가능한 부지에 주변시세보다 저렴하게 공급하는 공공임대주택입니다.

2. 매입임대주택(청년・신혼부부)

  • 매입임대주택이란 LH공사에서 청년과 신혼부부의 주거안정을 위해 주택을 직접 매입하여 시중시세의 70~80% 저렴한 가격의 전세 또는 월세로 임대해주는 주택입니다. 매입임대주택에는 청년매입임대주택과 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I, 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II 이 있으며, 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Ⅰ은 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Ⅱ보다 소득・자산과 같은 신청기준이 더 완화되어있습니다.

3. 기숙사형 청년주택

  • 기숙사형 청년주택은 대학 기숙사 부족 해소를 위해 LH공사에서 매입한 주택을 대학생 등에게 시중시세의 40% 수준으로 임대하는 주택입니다.

4. 청년∙신혼부부 전세임대주택

  • 청년층 및 신혼부부의 주거비부담 완화를 위하여 기존주택을 LH공사에서 전세계약을 체결하여 저렴하게 재임대하는 공공임대주택입니다.

5. 청년∙신혼부부 매입임대리츠

  • 주거부담이 큰 월세 거주비율이 높은 청년∙신혼부부를 대상으로 주택도시기금이 리츠를 설립하여 임차인 보증금과 기금을 통해 기존 주택을 매입한 후, LH공사가 시중시세의 90%이하로 공급하는 임대주택입니다.

6. 국민임대주택

  • 장기 공공임대주택 재고량을 선진국 수준으로 확대하여 무주택 저소득(소득1~4분위 계층)의 주거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국가재정과 주택도시기금을 지원받아 건설·공급하는 공공임대주택입니다. 장기간(30년) 임대가 가능하며 분양전환은 되지 않습니다.

7. 5년·10년 분양전환(공공)임대주택

  • 신축 아파트를 임대의무 기간(5년·10년)동안 임대하고, 이후 주변시세(건설원가와 감정평가금액을 산술평균한 금액)에 따른 가격으로 분양전환하는 임대주택입니다. 공급대상에는 일반, 신혼부부, 생애최초, 다자녀가구, 노부모봉양, 기관추천이 있습니다

8. 50년임대 공공임대주택

  • 영구적인 임대를 목적으로 건설한 공공임대주택으로 50년간 분양전환하지 않고, 임대로만 거주할 수 있는 주택으로 재정 50%, 기금20%를 지원하여 입주자가 30%만 납부하여 주거할 수 있는 공공임대주택입니다.

이상 다양한 LH주택공사의 임대주택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. 다음 포스팅에서는 위 유형의 공공임대주택의 입주대상, 신청자격, 임대료(가격)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감사합니다.

댓글